[백] 주님 성탄 대축일 - 낮 미사
복음
<말씀이 사람이 되시어 우리 가운데 사셨다.>
+ 요한이 전한 거룩한 복음입니다.1,1-18
1 한처음에 말씀이 계셨다.
말씀은 하느님과 함께 계셨는데 말씀은 하느님이셨다.
2 그분께서는 한처음에 하느님과 함께 계셨다.
3 모든 것이 그분을 통하여 생겨났고 그분 없이 생겨난 것은 하나도 없다.
4 그분 안에 생명이 있었으니 그 생명은 사람들의 빛이었다.
5 그 빛이 어둠 속에서 비치고 있지만 어둠은 그를 깨닫지 못하였다.
6 하느님께서 보내신 사람이 있었는데 그의 이름은 요한이었다.
7 그는 증언하러 왔다.
빛을 증언하여 자기를 통해 모든 사람이 믿게 하려는 것이었다.
8 그 사람은 빛이 아니었다. 빛을 증언하러 왔을 따름이다.
9 모든 사람을 비추는 참빛이 세상에 왔다.
10 그분께서 세상에 계셨고 세상이 그분을 통하여 생겨났지만
세상은 그분을 알아보지 못하였다.
11 그분께서 당신 땅에 오셨지만
그분의 백성은 그분을 맞아들이지 않았다.
12 그분께서는 당신을 받아들이는 이들,
당신의 이름을 믿는 모든 이에게
하느님의 자녀가 되는 권한을 주셨다.
13 이들은 혈통이나 육욕이나 남자의 욕망에서 난 것이 아니라
하느님에게서 난 사람들이다.
14 말씀이 사람이 되시어 우리 가운데 사셨다.
우리는 그분의 영광을 보았다.
은총과 진리가 충만하신 아버지의 외아드님으로서 지니신 영광을 보았다.
15 요한은 그분을 증언하여 외쳤다.
“그분은 내가 이렇게 말한 분이시다.
‘내 뒤에 오시는 분은 내가 나기 전부터 계셨기에 나보다 앞서신 분이시다.’”
16 그분의 충만함에서 우리 모두 은총에 은총을 받았다.
17 율법은 모세를 통하여 주어졌지만
은총과 진리는 예수 그리스도를 통하여 왔다.
18 아무도 하느님을 본 적이 없다.
아버지와 가장 가까우신 외아드님, 하느님이신 그분께서 알려 주셨다.
주님의 말씀입니다.
◎ 그리스도님, 찬미합니다.
<또는>
<말씀이 사람이 되시어 우리 가운데 사셨다.>
+ 요한이 전한 거룩한 복음입니다. 1,1-5.9-14
1 한처음에 말씀이 계셨다.
말씀은 하느님과 함께 계셨는데 말씀은 하느님이셨다.
2 그분께서는 한처음에 하느님과 함께 계셨다.
3 모든 것이 그분을 통하여 생겨났고
그분 없이 생겨난 것은 하나도 없다.
4 그분 안에 생명이 있었으니 그 생명은 사람들의 빛이었다.
5 그 빛이 어둠 속에서 비치고 있지만 어둠은 그를 깨닫지 못하였다.
9 모든 사람을 비추는 참빛이 세상에 왔다.
10 그분께서 세상에 계셨고 세상이 그분을 통하여 생겨났지만
세상은 그분을 알아보지 못하였다.
11 그분께서 당신 땅에 오셨지만 그분의 백성은 그분을 맞아들이지 않았다.
12 그분께서는 당신을 받아들이는 이들, 당신의 이름을 믿는 모든 이에게
하느님의 자녀가 되는 권한을 주셨다.
13 이들은 혈통이나 육욕이나 남자의 욕망에서 난 것이 아니라
하느님에게서 난 사람들이다.
14 말씀이 사람이 되시어 우리 가운데 사셨다.
우리는 그분의 영광을 보았다.
은총과 진리가 충만하신 아버지의 외아드님으로서 지니신 영광을 보았다.
주님의 말씀입니다.
◎ 그리스도님, 찬미합니다.
복음 묵상
하느님이 사람이 되어 오셨다. 요한 복음 1장은 이렇게 노래한다. “말씀이 사람이 되시어 우리 가운데 사셨다.”(요한 1,14) 사람이라고 번역된 원래 그리스어 단어는 사륵스다. 정확히 번역하자면, 사람이 아니라 ‘살덩이’에 가깝다. 인간을 뜻하는 안트로포스라는 단어가, 몸을 뜻하는 소마라는 단어가 있음에도, 요한 복음사가는 오해를 불러일으킬 만한 단어, ‘살덩이’라는 단어를 굳이 쓴다. 왜일까?
그것은 바로 하느님이 추상적인 인간이 아니라, 구체적인 한 사람이 되셨다는 걸 표현하기 위해서다. 인생의 희로애락을 모두 겪는 인간, 때로는 힘들고 지쳐서 신음하는 그런 인간으로 오셨다는 뜻이다. 배고픔과 추위, 분노와 불안을 느끼는 구체적인 사람, 바로 나 같은 사람이 되어 오셨다는 뜻이다. 나약하고 비루한 나 같은 사람과 함께하시기 위해, 그 영원한 로고스가 육이 되어 오셨다.
매번 맞는 성탄이 밋밋하게 다가올 수도 있다. 매년 성탄을 맞지만, 같은 성탄은 없다. 세상이 바뀌고, 내가 바뀐다. 우리에게는 매년 새로운 어려움과 새로운 갈망이 있다. 주님은 우리 안에서 다시 태어나셔야 한다. 다시 태어나시어 우리의 손을 잡아 주셔야 한다. 나라는 인간이 살아가는 이 자리, 희망과 절망, 기쁨과 슬픔이 공존하는 바로 이 자리에서 나와 함께 걸어 주셔야 한다. 그러려고, 하느님은 사람이 되어 오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