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더보기
슬라이드배경

가톨릭 생활

Catholic Life

매일 복음묵상
[홍] 성 스테파노 첫 순교자 축일
  복음
<말하는 이는 너희가 아니라 아버지의 영이시다.>
+ 마태오가 전한 거룩한 복음입니다.10,17-22
그때에 예수님께서 제자들에게 말씀하셨다.
17 “사람들을 조심하여라.
그들이 너희를 의회에 넘기고 회당에서 채찍질할 것이다.
18 또 너희는 나 때문에 총독들과 임금들 앞에 끌려가,
그들과 다른 민족들에게 증언할 것이다.
19 사람들이 너희를 넘길 때, 어떻게 말할까,
무엇을 말할까 걱정하지 마라.
너희가 무엇을 말해야 할지, 그때에 너희에게 일러 주실 것이다.
20 사실 말하는 이는 너희가 아니라
너희 안에서 말씀하시는 아버지의 영이시다.
21 형제가 형제를 넘겨 죽게 하고 아버지가 자식을 그렇게 하며,
자식들도 부모를 거슬러 일어나 죽게 할 것이다.
22 그리고 너희는 내 이름 때문에 모든 사람에게 미움을 받을 것이다.
그러나 끝까지 견디는 이는 구원을 받을 것이다.”
주님의 말씀입니다.
◎ 그리스도님, 찬미합니다.
  복음 묵상
그리스도인의 운명은 그리스도를 닮는 것이라고 초대교회는 믿었다. 박해가 되었건, 고통이 되었건, 모든 것이 그리스도를 통하여, 그리스도를 향하여 그런 것이라 믿었다. 오늘 복음이 박해의 원인을 ‘나 때문에’, ‘내 이름 때문에’라고 언급하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예수 그리스도를 증언하는 일이 박해를 동반할 수밖에 없는 시절의 이야기가 복음의 이야기고 초대교회의 이야기다. 
우린 박해와 멀다. 그리스도를 믿는다는 것이 멸시와 모욕의 대상이 된다는 것으로 여기는 시절이 아니다. 오늘 우리에게 복음의 이야기가 진정 기쁜 소식으로 전해지지 않는 이유가 여기에 있지 않을까. 우린 그리스도교 신앙으로 제 삶을 꾸미고 다듬고 정갈하게 만드는 데 애쓴다. 누군가로부터 손가락질을 받거나 모욕을 당하는 일은 살면서 극히 드물게 맞닥뜨린다. 믿는다는 것이 마음의 평화를 가져오는 것이라 여기는 오늘의 우리와 박해와 모욕, 멸시를 아버지의 영과 함께 견뎌 내었던 초대교회의 신앙인들 사이의 간극은 어떻게 셈할 수 있을까.
복음 때문에, 예수님 때문에 한걸음 내디뎠던 신앙이란 걸, 저 자신 때문에, 자신의 체면 때문에 한걸음 물러서서 후회하지 않길, 아버지의 영께 겸손되이 청해 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