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더보기
슬라이드배경

가톨릭 생활

Catholic Life

매일 복음묵상
[백] 주님 공현 대축일 후 월요일
  복음
<하늘 나라가 가까이 왔다.>
+ 마태오가 전한 거룩한 복음입니다.4,12-17.23-25
그때에 12 예수님께서는 요한이 잡혔다는 말을 들으시고 갈릴래아로 물러가셨다.
13 그리고 나자렛을 떠나 즈불룬과 납탈리 지방 호숫가에 있는
카파르나움으로 가시어 자리를 잡으셨다.
14 이사야 예언자를 통하여 하신 말씀이 이루어지려고 그리된 것이다.
15 “즈불룬 땅과 납탈리 땅, 바다로 가는 길, 요르단 건너편, 이민족들의 갈릴래아,
16 어둠 속에 앉아 있는 백성이 큰 빛을 보았다.
죽음의 그림자가 드리운 고장에 앉아 있는 이들에게 빛이 떠올랐다.”
17 그때부터 예수님께서는 “회개하여라. 하늘 나라가 가까이 왔다.” 하고
선포하기 시작하셨다.
23 예수님께서는 온 갈릴래아를 두루 다니시며
회당에서 가르치시고 하늘 나라의 복음을 선포하시며,
백성 가운데에서 병자와 허약한 이들을 모두 고쳐 주셨다.
24 그분의 소문이 온 시리아에 퍼졌다.
그리하여 사람들이 갖가지 질병과 고통에 시달리는 환자들과 마귀 들린 이들,
간질 병자들과 중풍 병자들을 그분께 데려왔다.
예수님께서는 그들을 고쳐 주셨다.
25 그러자 갈릴래아, 데카폴리스, 예루살렘, 유다,
그리고 요르단 건너편에서 온 많은 군중이 그분을 따랐다.
주님의 말씀입니다.
◎ 그리스도님, 찬미합니다.
  복음 묵상
병자와 허약한 이들을 모두 고쳐 주셨다.” 마구간과 구유를 예수님의 가난한 유년기를 드러내는 장치로만 받아들여서는 곤란하다. 예수님께서 이토록 초라한 곳에서 지상 생활을 시작하셨다는 것은, 예수님의 삶이 가장 누추한 곳으로 임하여 그곳의 사람들과 함께 살아가는 일임을 드러내는 표징이다. 실제로 우리가 믿는 주님의 육화는 홀로 고결해지는 일이 아니라 누추하더라도 함께 머무르는 일이지 않은가.
그런 점에서 오늘 복음은 육화의 신비가 건재함을 드러내어 보인다. 공생활의 시작점으로 복음이 제시하는 지명들을 보라. 즈불룬 땅과 납탈리 땅, 이민족들의 갈릴래아. 이 지역은 이방인들이 정착해 함께 살던 땅인 만큼 스스로 순수한 신앙을 지킨다고 믿던 유다인의 눈에 부정한 지역이었다. 예수님께서는 바로 그런 곳에서 하느님 나라를 선포하기 시작하셨다. 천대받는 땅의 사람들을 제자로 삼아 죄인이라 지탄받던 이들에게 하느님의 구원을 알리셨다.
오늘 하루, 나의 자리는 어디인지 곰곰이 생각해 보자. 성탄을 기뻐함에는 나의 마구간, 나의 구유, 그리고 나의 갈릴래아를 찾는 일이 포함되어 있다. 우리 모습이 가장 누추하고 죄 많은 곳으로 임하신 예수님을 닮기를, 구원을 선포하는 새로운 목소리가 되기를 소망해 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