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 주님 공현 대축일 후 토요일
복음
<신랑 친구는 신랑의 목소리를 듣게 되면 크게 기뻐한다.>
+ 요한이 전한 거룩한 복음입니다.3,22-30
그때에 22 예수님께서는 제자들과 함께 유다 땅으로 가시어,
그곳에서 제자들과 함께 머무르시며 세례를 주셨다.
23 요한도 살림에 가까운 애논에 물이 많아, 거기에서 세례를 주고 있었다.
그리하여 사람들이 가서 세례를 받았다.
24 그때는 요한이 감옥에 갇히기 전이었다.
25 그런데 요한의 제자들과 어떤 유다인 사이에 정결례를 두고 말다툼이 벌어졌다.
26 그래서 그 제자들이 요한에게 가서 말하였다.
“스승님, 요르단 강 건너편에서 스승님과 함께 계시던 분,
스승님께서 증언하신 분, 바로 그분이 세례를 주시는데
사람들이 모두 그분께 가고 있습니다.”
27 그러자 요한이 대답하였다.
“하늘로부터 주어지지 않으면 사람은 아무것도 받을 수 없다.
28 ‘나는 그리스도가 아니라 그분에 앞서 파견된 사람일 따름이다.’
하고 내가 말한 사실에 관하여, 너희 자신이 내 증인이다.
29 신부를 차지하는 이는 신랑이다.
신랑 친구는 신랑의 소리를 들으려고 서 있다가,
그의 목소리를 듣게 되면 크게 기뻐한다. 내 기쁨도 그렇게 충만하다.
30 그분은 커지셔야 하고 나는 작아져야 한다.”
주님의 말씀입니다.
◎ 그리스도님, 찬미합니다.
복음 묵상
예수님의 등장이 세례자 요한의 제자들에게는 무언가 못마땅한 모습이었나 봅니다. 자기 스승의 역할과 존재감이 사라지는 듯 느꼈을지도 모르고, 그래서 자기네들 역시 덩달아 존재감이 약해지는 듯한 느낌을 받을지도 모르겠습니다.
그리고 우리 교회 공동체 안에서도 이와 비슷한 양상이 드러나는 경우가 있을지도 모릅니다. 예컨대 공동체 내에서 중요한 직책이나 활동을 맡고 있다가 물러나야 하는 경우들이 생깁니다. 그리고 다른 누군가가 그 역할을 대신하게 되기도 하고, 이러한 상황은 왠지 모를 섭섭함이나 씁쓸함으로 다가올 수도 있습니다.
그렇지만 다시 생각해 보면, 그러한 섭섭한 마음은 신앙인으로서의 본질적인 마음가짐을 다잡을 수 있는 좋은 기회의 시간이 됩니다. 오늘 복음에서 세례자 요한이 말하는 것처럼 그분을 더 커지게 할 수 있는, 그리고 자신은 더욱 작아지게 하는 영광의 순간이 될 수도 있다는 겁니다.
나 자신이 초라해지는 듯한 느낌을 받게 되는 바로 그 순간, 오히려 주님께 영광을 돌릴 수 있는 진실되고 겸허한 마음을 가져 보았으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