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녹] 연중 제1주간 토요일(일치 주간)
복음
<나는 의인이 아니라 죄인을 부르러 왔다.>
+ 마르코가 전한 거룩한 복음입니다.2,13-17
그때에 13 예수님께서 호숫가로 나가셨다.
군중이 모두 모여 오자 예수님께서 그들을 가르치셨다.
14 그 뒤에 길을 지나가시다가
세관에 앉아 있는 알패오의 아들 레위를 보시고 말씀하셨다.
“나를 따라라.”
그러자 레위는 일어나 그분을 따랐다.
15 예수님께서 그의 집에서 음식을 잡수시게 되었는데,
많은 세리와 죄인도 예수님과 그분의 제자들과 자리를 함께하였다.
이런 이들이 예수님을 많이 따르고 있었기 때문이다.
16 바리사이파 율법 학자들은,
예수님께서 죄인과 세리들과 함께 음식을 잡수시는 것을 보고
그분의 제자들에게 말하였다.
“저 사람은 어째서 세리와 죄인들과 함께 음식을 먹는 것이오?”
17 예수님께서 이 말을 들으시고 그들에게 말씀하셨다.
“건강한 이들에게는 의사가 필요하지 않으나
병든 이들에게는 필요하다.
나는 의인이 아니라 죄인을 부르러 왔다.”
주님의 말씀입니다.
◎ 그리스도님, 찬미합니다.
복음 묵상
예수님께서는 지상에 계시는 동안 항상 소외된 사람들에게 관심이 많으셨습니다. 오늘 복음처럼 세리나 죄인들과 자주 만나셨고, 또 아프고 병든 이들에게 기꺼이 다가가시는 분이었습니다. 그러면서 이렇게 말씀하십니다. “나는 의인이 아니라 죄인을 부르러 왔다.”
사실 누가 의인인지, 누가 죄인인지를 명확하게 구별하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닙니다. 그리고 예수님께서 죄인들과 함께하셨다고 해서 의인들을 업신여긴(?) 것도 아닐 겁니다. 어쩌면 의로움과 죄스러움은 우리 모두의 내면에 공존해 있다고 보아도 무방할 것입니다. 평소에 나름 의롭게 살아가려고 노력하던 사람도 특정 순간에는 다양한 압박과 두려움에 못 이겨 죄스러운 선택에 빠질 수도 있습니다. 죄악에 허덕이던 사람도 상황에 따라서는 의로움의 길을 선택할 수도 있습니다.
다시 말해서, 우리는 항상, 매 순간, 의로움과 죄스러움의 기로에서 고민하고 갈등해야 하는지도 모른다는 것입니다. 그리고 의인과 죄인에 대한 오늘 예수님의 말씀은 그러한 의로움을 향한 갈등 상황에서도 당신께서 우리 옆에 늘 현존하고 있음을 자각하고 용기를 내라는 의미는 아닐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