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더보기
슬라이드배경

가톨릭 생활

Catholic Life

매일 복음묵상
[녹] 연중 제2주간 목요일
  복음
<더러운 영들은“당신은 하느님의 아드님이십니다!”하고 소리 질렀다. 예수님께서는 그들에게 당신을 사람들에게 알리지 말라고 이르셨다.>
+ 마르코가 전한 거룩한 복음입니다.3,7-12
그때에 7 예수님께서 제자들과 함께 호숫가로 물러가셨다.
그러자 갈릴래아에서 큰 무리가 따라왔다.
또 유다와 8 예루살렘, 이두매아와 요르단 건너편,
그리고 티로와 시돈 근처에서도
그분께서 하시는 일을 전해 듣고 큰 무리가 그분께 몰려왔다.
9 예수님께서는 군중이 당신을 밀쳐 대는 일이 일어나지 않게 하시려고,
당신께서 타실 거룻배 한 척을 마련하라고 제자들에게 이르셨다.
10 그분께서 많은 사람의 병을 고쳐 주셨으므로,
병고에 시달리는 이들은 누구나 그분에게 손을 대려고 밀려들었기 때문이다.
11 또 더러운 영들은 그분을 보기만 하면 그 앞에 엎드려,
“당신은 하느님의 아드님이십니다!” 하고 소리 질렀다.
12 그러나 예수님께서는 그들에게 당신을 사람들에게 알리지 말라고
엄하게 이르곤 하셨다.
주님의 말씀입니다.
◎ 그리스도님, 찬미합니다.
  복음 묵상
예수님께로 수많은 사람들이 몰려 든다. ‘큰 무리’로 번역한 ‘폴루 플레토스’는 가히 충격적이다. 형용사 ‘폴루’가 이미 ‘대단한, 큰, 수많은’의 뜻을 지니는데, ‘엄청난 숫자의 군중’을 가리킬 때 사용하는 ‘플레토스’를 또한 사용하기 때문이다. 예수님을 따르는 사람들이 많아도 너무 많다. 마르코 복음이 예수님을 따르는 이들의 수를 과하게 부풀리는 이유는 분명하다. 예수님을 따르는 데 게으르지 않길, 그래서 되도록이면 많은 사람이 예수님을 향해 걸어가길 바라기 때문이다. 
그러나 수많은 사람들과 거리를 두는 예수님의 모습은 어떻게 해석해야 할까. 거룻배를 타고 군중과 떨어지려는 예수님에게서 기대치 않은 낯선 모습이 어른거린다. 흔히 주석학자들은 마르코 복음의 예수님을 ‘수난받는 메시아’로 벽에 못을 박듯 규정해 버린다. 그리고 수난을 받아들이지 않는 제자들과 군중들을 비판적으로 묘사한다. 오늘 복음도 그렇다. 병을 고치고 싶어, 더러운 영을 떨쳐내고 싶어 찾아오는 그 수많은 군중들은 ‘수난받는 예수님’을 제대로 이해하지 못했다고 학자들은 비판한다. 
그런데 우리는 말이다. 사는 게 힘들 때 예수님을 찾고, 사는 게 서러울 때 예수님 품 안에서 위로받고 싶어 한다. 예수님을 밀쳐서라도 우리를 한번 봐 달라고 예수님께 아우성칠 때가 있다. 이런 우리를 탓할 수가 있을까. 그만큼 아프고 서러울 때, 예수님이 계셔서 얼마나 다행일까. 참된 주님을 이해하는 데 더디 걸리더라도 지금의 아우성이 필요하다. 예수님의 수난을 이해하는 데 느리더라도 이 삶을 기어이 살아 내는 우리는 이미 삶의 수난을 이러저러하게 짊어지고 있으므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