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더보기
슬라이드배경

가톨릭 생활

Catholic Life

매일 복음묵상
[자] 사순 제5주간 금요일
  복음
<유다인들이 예수님을 잡으려고 하였지만, 예수님께서는 그들의 손을 벗어나셨다.>
+ 요한이 전한 거룩한 복음입니다.10,31-42
그때에 31 유다인들이 돌을 집어 예수님께 던지려고 하였다.
32 예수님께서 그들에게 말씀하셨다.
“나는 아버지의 분부에 따라 너희에게 좋은 일을 많이 보여 주었다.
그 가운데에서 어떤 일로 나에게 돌을 던지려고 하느냐?”
33 유다인들이 예수님께, “좋은 일을 하였기 때문이 아니라
하느님을 모독하였기 때문에 당신에게 돌을 던지려는 것이오.
당신은 사람이면서 하느님으로 자처하고 있소.” 하고 대답하자,
34 예수님께서 그들에게 말씀하셨다.
“너희 율법에 ‘내가 이르건대 너희는 신이다.’라고 기록되어 있지 않으냐?
35 폐기될 수 없는 성경에서, 하느님의 말씀을 받은 이들을 신이라고 하였는데,
36 아버지께서 거룩하게 하시어
이 세상에 보내신 내가 ‘나는 하느님의 아들이다.’ 하였다 해서,
‘당신은 하느님을 모독하고 있소.’ 하고 말할 수 있느냐?
37 내가 내 아버지의 일들을 하고 있지 않다면 나를 믿지 않아도 좋다.
38 그러나 내가 그 일들을 하고 있다면, 나를 믿지 않더라도 그 일들은 믿어라.
그러면 아버지께서 내 안에 계시고
내가 아버지 안에 있다는 것을 너희가 깨달아 알게 될 것이다.”
39 그러자 유다인들이 다시 예수님을 잡으려고 하였지만,
예수님께서는 그들의 손을 벗어나셨다.
40 예수님께서는 다시 요르단 강 건너편,
요한이 전에 세례를 주던 곳으로 물러가시어 그곳에 머무르셨다.
41 그러자 많은 사람이 그분께 몰려와 서로 말하였다.
“요한은 표징을 하나도 일으키지 않았지만,
그가 저분에 관하여 한 말은 모두 사실이었다.”
42 그곳에서 많은 사람이 예수님을 믿었다.
주님의 말씀입니다.
◎ 그리스도님, 찬미합니다.
  복음 묵상
논쟁의 쟁점은 ‘신성모독’입니다. 그리고 이것은 예수님께 가해진 폭력의 명분이었습니다.(마르 14,46 참조) 그런데, 신성모독을 논리적으로 따져 보면 의아한 구석이 있습니다. 모독의 대상이 하느님(혹은 신적 존재)이니, 이 규범이 지키고자 하는 분은 바로 하느님입니다. 조금 이상하지 않습니까. 사람들이 만든 규범으로 하느님을 지키는 꼴이 되니까요. 사람들의 법으로 지켜야 할 정도면, 그런 존재를 신적 존재라고 할 수 있을까요. 결국 이 법률은 신적 존재를 지키는 법이 아니라, 어떤 사람들을 신앙과 신념을 지키기 위해, 표현의 자유를 잠시 제한하는 규칙이라고 하겠지요. 그런 맥락에서 신성모독에 대한 규범은 필요하고, 같은 맥락에서 이 규범은 자신의 신앙과 삶을 성찰하는데 사용되어야 합니다.
유다 사람들은 예수님이 신성모독을 하고 있다고 선언했습니다. 예수님의 말에 상처를 받은 이는 하느님이 아니라, 그들 자신이었습니다. 자신의 생각과는 다른 말을 했다는 이유로, 그리고 그 말이 자신들을 모욕하고 있으며, 그런 이유로 그가 신성모독을 벌였다고 선언한다면, 마침내 그런 이유로 누군가를 해칠 수 있다고 믿고 있다면, 하느님의 자리에 가 있는 것은 그런 사람들이 아닐까요. 그렇다면 정말로 하느님을 모독한 이들은 누구인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