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 성주간 수요일
복음
<사람의 아들은 성경에 기록된 대로 떠나간다. 그러나 불행하여라, 사람의 아들을 팔아넘기는 그 사람!>
+ 마태오가 전한 거룩한 복음입니다.26,14-25
14 그때에 열두 제자 가운데 하나로
유다 이스카리옷이라는 자가 수석 사제들에게 가서,
15 “내가 그분을 여러분에게 넘겨주면
나에게 무엇을 주실 작정입니까?” 하고 물었다.
그들은 은돈 서른 닢을 내주었다.
16 그때부터 유다는 예수님을 넘길 적당한 기회를 노렸다.
17 무교절 첫날에 제자들이 예수님께 다가와,
“스승님께서 잡수실 파스카 음식을
어디에 차리면 좋겠습니까?” 하고 물었다.
18 그러자 예수님께서 이르셨다. “도성 안으로 아무개를 찾아가,
‘선생님께서 ′나의 때가 가까웠으니
내가 너의 집에서 제자들과 함께 파스카 축제를 지내겠다.′ 하십니다.’ 하여라.”
19 제자들은 예수님께서 분부하신 대로 파스카 음식을 차렸다.
20 저녁때가 되자 예수님께서 열두 제자와 함께 식탁에 앉으셨다.
21 그들이 음식을 먹고 있을 때에 예수님께서 말씀하셨다.
“내가 진실로 너희에게 말한다.
너희 가운데 한 사람이 나를 팔아넘길 것이다.”
22 그러자 그들은 몹시 근심하며 저마다
“주님, 저는 아니겠지요?” 하고 묻기 시작하였다.
23 예수님께서 그들에게 대답하셨다.
“나와 함께 대접에 손을 넣어 빵을 적시는 자, 그자가 나를 팔아넘길 것이다.
24 사람의 아들은 자기에 관하여 성경에 기록된 대로 떠나간다.
그러나 불행하여라, 사람의 아들을 팔아넘기는 그 사람!
그 사람은 차라리 태어나지 않았더라면 자신에게 더 좋았을 것이다.”
25 예수님을 팔아넘길 유다가 “스승님, 저는 아니겠지요?” 하고 묻자,
예수님께서 그에게 “네가 그렇게 말하였다.” 하고 대답하셨다.
주님의 말씀입니다.
◎ 그리스도님, 찬미합니다.
복음 묵상
유다의 배신이 예수님을 죽게 했다. 하지만 유다의 배신만이 예수님을 죽게 한 것은 아니다. 이미 유다 지도자들은 예수님을 죽이기로 결정했고, 백성들은 그 결정에 휩쓸려 갔다. 제자들도 결국엔 도망쳐 버렸다. 사람들의 증오, 제자들의 불안과 비겁함, 거기에 유다의 배신이 더해져 예수님의 죽음을 낳았다. 우리가 당시 사람들 속에 있다면, 우리는 어디쯤 있겠는가? 우리는 증오와 불안, 비겁함과는 아무런 상관이 없는 사람이었을까?
유다만 잘못일까? 다른 이는 책임이 없을까? 오직 한 사람의 죄로 손쉽게 몰아가는 것은 참으로 비열한 폭력이다. 예수님이 당하신 폭력도 그렇다. 예수님을 죽일 작당을 한 회의에서 가야파는 이렇게 말한다. “온 민족이 멸망하는 것보다 한 사람이 백성을 위하여 죽는 것이 여러분에게 더 낫다.”(요한 11,50) 예수님의 제자라면 한 사람에게 죄를 몰고, 그 사람을 제거하려는 비열한 폭력에 결연히 맞설 줄 알아야 한다. 죄를 한 사람에게 몰고, 자신은 아무 상관이 없는 것처럼 처신하는 일, 그런 일을 우리는 유다 앞에서 하고 있지는 않는가? 유다의 배반을 기억하는 오늘, 우리는 우리 안의 유다도 생각해야 한다. 내가 저지른 배반, 나의 나약함과 비겁함, 그것은 유다에게 뒤집어 씌울 수 없는 것들이다. 그것들은 온전히 나의 것이니, 내가 감당하고, 내가 책임을 져야 한다.